한국군의 ‘김정은 참수작전’ 계획 수립 소식 후 현지시찰 절반 이하로 줄어
  • 2016년 11월 전방 군부대를 시찰한 김정은. 최근 북한 내에서는 김정은의 동선을 호위사령부만 아는 기밀로 취급하고 있다고 한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16년 11월 전방 군부대를 시찰한 김정은. 최근 북한 내에서는 김정은의 동선을 호위사령부만 아는 기밀로 취급하고 있다고 한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16년 한국 국방부가 “김정은 참수 작전계획을 빠른 시일 내 수립하고, 관련 부대를 창설할 것”이라고 밝힌 뒤 북한 권력층 내부에서 갈등이 심해지고 있다고 ‘조선일보’가 18일 북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북한 평양 소식통들을 인용해 “우리 군의 김정은 참수 작전 발표 이후 김정은의 현지시찰 동선(動線)을 김원홍 국가안전보위상에게도 알려주지 않는 등 경호와 보안을 한층 더 강화하면서, 김정은 경호를 책임진 호위사령부와 국가안전보위성 간의 갈등이 심화됐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와 접촉한 평양 소식통에 따르면, 과거에는 윤정린 호위사령관이 김정은의 동선을 김원홍 국가안전보위상에게 사전에 알려줬지만, 2016년 한국군이 ‘김정은 참수작전’ 계획을 세운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부터는 ‘보안’을 이유로 알려주지 않고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윤정린과 김원홍이 서로 언성을 높인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평양 소식통은 “2016년 12월 초 김정은이 양강도 삼지연을 방문했을 때 호위사령부가 김정은 동선을 국가안전보위성에 알려주지 않자 김원홍이 ‘내 윤정린을 가만두지 않겠다’며 화를 냈다”고 주장했다.

    평양 소식통은 “이 때문에 호위사령부 호위처장 A소장(한국군 준장에 해당)이 김원홍 보위상에게 닦달을 당했다”고 덧붙였다.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북한에서는 김정은의 출퇴근을 비롯한 일상생활이 외부로 전혀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 국가안전보위성, 인민보안성(한국의 경찰에 해당), 인민군 보위국(舊보위사령부)에도 김정은의 동선은 공개하지 않고 있어 각 기관 책임자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한다.

    ‘조선일보’가 지적한 호위사령부는 한국의 대통령 경호실 역할을 맡고 있지만, 그 규모는 한국의 수도방위사령부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북한은 김씨 일가에 대해 3선 경호를 하는데 호위사령부는 최근접 경호인 1선을, 국가안전보위성과 인민군 보위국은 제2선, 인민보안성은 제3선의 경호를 맡고 있다.

    하지만 2016년 한국군의 ‘김정은 참수작전’ 관련 소식이 나온 뒤에는 호위사령부가 모든 경호를 책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일보’에 호위사령부 소식을 전한 평양 소식통의 이야기는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실제 김정은의 외부 활동은 한국군의 ‘김정은 참수작전’ 계획 소식이 나온 뒤 눈에 띄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지난 1월 10일 통일부가 내놓은 ‘김정은 공개활동 분석자료’만 봐도 김정은의 공개 활동 횟수가 줄어든 것은 물론 한미연합훈련이 실시될 때에는 그마저도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고 시찰한 지역도 평양 인근에 한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김정은과 그 측근들이 대외 선전선동 내용과 달리 한미 연합군에 의해 ‘제거’당하는 것을 매우 우려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