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등 행진, 장관 연출… '이례적 태극기 물결'
  • ▲ 3·1절을 맞아 열린 15차 태극기집회에 사상 최다 인파가 몰렸다.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 3·1절을 맞아 열린 15차 태극기집회에 사상 최다 인파가 몰렸다.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변론 이후 첫 행사가 열린 1일, 광화문 일대에는 골목 구석구석까지 태극기가 휘날렸다. 3·1절 98주년 기념 집회가 태극기집회로는 사상 최다 인파를 기록한 것이다.
    15차 태극기집회를 주최한 '대통령탄핵기각을위한 국민총궐기운동본부(탄기국)'는 "500만명 이상이 운집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집회 및 행진 장소는 세종대로 사거리를 중심으로 동쪽으로는 동대문, 남쪽으로는 남대문까지 총 4.8km 구간이다. 
    실제로 해당 구간 대부분은 오후 2시 집회가 시작되자 인파로 가득찼으며, 비가 내린 오후에도 그 규모가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탄기국은 구간마다 초대형 스크린과 스피커 약 100개를 설치했으며 유튜브 등을 통해 집회 실황을 생중계했다.
    태극기집회 본무대가 촛불집회 장소인 광화문광장과 300m 떨어진 곳인 만큼, 물리적 충돌 우려도 제기됐다. 경찰은 태극기집회와 촛불집회의 안전 및 질서유지를 위해 1만6,000명의 병력을 배치했다.  
  • ▲ 태극기집회 참가자들은 이날 집회 개최 이후 처음으로 청와대 방면으로 행진했다.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 태극기집회 참가자들은 이날 집회 개최 이후 처음으로 청와대 방면으로 행진했다.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참가자들은 본집회가 끝나자 청와대와 안국역 등으로 향하는 5개 행진 코스로 퍼져나갔으며, 대규모 행렬인 만큼 이례적인 태극기 물결이 일기도 했다.

    이 중 청와대 방향 행진에선 특히 "탄핵 기각" 구호 소리가 컸다. 태극기집회로는 처음으로 청와대 인근까지 근접했기 때문이다. 청와대로부터 200m 떨어진 효자동주민센터 앞에 집결한 참가자들은 "졸속 탄핵, 거짓 탄핵을 규탄한다"고 외쳤다.

    참가자들의 태극기 종류도 다양했다. 손 태극기 뿐 아니라 5~6명이 함께 드는 대형 태극기, 망토 태극기, 우산 태극기, 태극기 스티커, 태극기 부츠, 태극기 안경, 태극기 강아지 옷 등도 등장했다.

    '해병사관 동기회' '육사 동기회' 등 예비역 단체와 보수단체, 종교단체 등은 조직을 나타내는 각종 깃발을 들고 행진에 나섰다. 가족 단위 등 일반 참가자들도 '촛불은 인민, 태극기는 국민' '탄핵 기각' '국회 해산' '대한민국 만세' '조국 수호' 등의 피켓을 들고 국회와 검찰, 언론을 비판하면서 "3·1운동 정신을 계승해 거짓과 폭압으로부터 나라를 지킬 것"이라고 외쳤다. 행렬 곳곳에선 태극기와 성조기를 함께 든 외국인들도 눈에 띄었다.

    이들은 국기에 대한 경례와 순국선열에 대한 묵념시 걸음을 멈추고 고개를 숙였다. 일부 시민들은 애국가를 부르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 ▲ 태극기집회에 참가한 가족.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 태극기집회에 참가한 가족.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아내와 집회에 참석한 김씨(남·62·경기)는 "선동에 휘말린 촛불 세력들과 이들을 조종하는 민노총을 보면 부모로서 젊은세대에게 미안하다"며 탄핵심판과 관련해선 "각하나 기각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아이들과 함께 나온 박씨(여·58·서울)는 "우리 아이들마저 가짜뉴스에 속아 싸우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진실을 보여주기위해 나왔다"고 했다. 양손에 태극기를 쥔 김씨(여·61·충북)는 "미약하지만 노인들이라도 힘을 보태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태극기가 모이는 곳이라면 어디든 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1월 19일부터 시작한 태극기집회는 그 세력을 꾸준히 확장시키는 모습이다. 탄기국은 각 집회 참가인원에 대해 〈1차 7만명〉 〈2차 10만명〉 〈3차 15만명〉 〈4차 32만명〉 〈5차 51만명〉 〈6차 65만명〉 〈7차 72만명〉 〈8차 102만명〉 〈9차 120만명〉 〈10차 125만명〉 〈11차 130만명〉 〈12차 210만명〉 〈13차 250만명〉 〈14차 270만명〉 등이라고 밝혔다.
  • ▲ 태극기를 흔들고 있는 외국인들.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 태극기를 흔들고 있는 외국인들.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