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우리와 동맹국 지킬 준비 돼 있다”…中 “北 핵·미사일 개발과 한미훈련 동시 중단해야”
  • 지난 5일 오후 3시(현지시간) 열린 유엔 안보리의 ICBM 발사 대응 긴급회의는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났다고 한다. 사진은 2016년 3월 2일 대북제재 결의 채택 당시 유엔 안보리 회의 모습. ⓒ美공영 NPR 관련보도 화면캡쳐.
    ▲ 지난 5일 오후 3시(현지시간) 열린 유엔 안보리의 ICBM 발사 대응 긴급회의는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났다고 한다. 사진은 2016년 3월 2일 대북제재 결의 채택 당시 유엔 안보리 회의 모습. ⓒ美공영 NPR 관련보도 화면캡쳐.


    “美정부는 우리나라와 우리 동맹국들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총동원해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고 있다. 우리의 능력 가운데 하나로 군사력을 고려할 수도 있다. 우리가 그 방향으로 갈 필요는 없지만 필요하다면 그것(군사력)을 그들에게 사용하게 될 것이다.”

    지난 5일 오후 3시(현지시간) 美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에서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美대사가 한 발언 가운데 일부다. 이 발언이 국내에 알려지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미국의 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美대사는 “미국은 갈등을 추구하기 보다는 오히려 피하고 싶다”면서 “하지만 북한의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는 분명 군사적 위험도를 높혔다”며 그동안 북한이 미국, 일본, 한국을 향해 탄도미사일로 공격하겠다고 공개적인 협박을 계속 해왔다고 지적했다.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美대사는 “북한은 한반도 주변의 모든 나라에 대해 위협을 가해오면서 지역 불안정을 가중시켰다”면서 “그들의 행동을 외교적 해법을 통해 중단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재빨리 없애버렸다”고 지적했다고 한다.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美대사는 “북한의 새로운 위협에 대응해 우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로운 제재를 마련해 그들에게 대응할 것”이라며, 새로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가능성도 제시했다.

    ‘미국의 소리’ 방송에 따르면,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美대사는 그 방안으로 대북 석유공급 제한, 항공 및 해상운동 규제, 김정은 정권의 고위 인사들에게 책임을 묻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다고 한다.

    ‘미국의 소리’ 방송에 따르면, 이날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에 모인 15개 이사국 대부분은 북한의 ‘화성-14형’ ICBM 발사를 비난하며, 대북제재 강화를 주장했다고 한다.

    ‘미국의 소리’ 방송에 따르면, 카와무라 야스히사 유엔주재 日차석대사는 “북한의 최근 도발은 지금이 북한과 대화를 하기는 부적절한 시기라는 점을 보여주는 더 없는 증거”라면서 “우리가 모두 협력해 북한에게 압박을 가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이 없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프랑수아 들라트 유엔주재 프랑스 대사 또한 “북한이 유엔 안보리의 요구를 계속, 체계적으로 무시하고 있다”며 “집단적이고 결정적인 대북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조태열 유엔주재 韓대사는 북한 문제의 당사국 입장에서 “과거 유엔 안보리가 내놓은 대북압력보다 훨씬 더 강한 대북제재를 통해 북한의 도발을 막아야 한다”고 역설했다고 한다.

    유엔 안보리 이사국 대부분은 이처럼 보다 강력한 대북제재의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대화’를 강조했다고 한다.

    유엔 안보리의 7월 의장국을 맡은 중국은 북한의 ICBM 시험 발사를 비난하면서도 “북핵 문제 당사국들은 냉정을 되찾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소리’ 방송에 따르면, 류제이 유엔주재 中대사는 이와 함께 “북한은 핵무기 및 탄도미사일 개발을 중단하고, 동시에 한국과 미국은 대규모 합동훈련을 중단하라”고 주장했다고 한다. 중국 정부의 기존 주장을 되풀이한 것이다.

    류제이 유엔주재 中대사는 “미국이 한국에 배치하려는 ‘사드(THAAD, 종말고고도요격체계)’는 중국을 비롯한 한반도 주변국의 전략적 이익을 침해한다”며 철거를 주장했다고 한다.

    러시아의 경우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ICBM이 아니라 IRBM(중거리 탄도미사일)”이라면서 “유엔 안보리의 추가 대북제재를 통해서는 북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군사적 행동 또한 반대한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한국 정부와 사회의 기대를 받았던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는 이처럼 미국과 한국, 일본, 프랑스 등 서방 국가들의 추가 대북제재 촉구와 중국-러시아의 대북제재 반대 의견이 팽팽히 대립한 탓에 회의 시작 1시간 30분 만에 끝났고 별다른 성과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